- 뉴스
- 하나님 나라 확장과 선한 일을 세상에 알리는 청지기
성경적 헌금이란 - 성경적인 의미 알고 헌금합시다!
New Hot |
|||||
---|---|---|---|---|---|
기자명
|
정희진 |
||||
기사입력
|
2011-08-10 |
조회
|
10967 |
||
십일조, 주일헌금, 감사헌금 등 한국교회 성도들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많은 헌금을 드리고 있는데요. 성경적인 헌금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정희진 기자입니다. ----------------------------- 성도가 예배를 통해 하나님께 바치는 물질인 헌금. 헌금은 성도들에게 어떤 의미일까요? 남정산 성도 / 사랑의교회 양성자 집사 / 산정현교회 하나님의 계시와 구원에 대한 응답이라는 헌금의 의미를 교회 현장에서는 분명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경적 헌금의 의미 중 가장 우선해야 할 것을 묻는 질문에, 성도의 마땅한 의무라고 답한 목회자가 47.1%로 가장 많고, 구원과 영생에 대한 마땅한 보답이라는 응답이 30%, 복음사업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응답이 14.3%, 헌금을 성실히 내면 하나님께서 축복을 주신다는 응답이 8.6%로 뒤를 이었습니다. 목회자 10명 중 3명만이 성경적 헌금론을 바르게 알고 있는 셈입니다. 이같은 현상은 먼저 목회자들이 성경적 헌금에 대해 체계적으로 배우지 못하기 때문인데, 실제로 목회자의 56%가 헌금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했다고 답했습니다.아울러 체계적 교육을 받지 않고 헌금에 대해 어떻게 알았냐는 질문에는 성경을 읽으면서 스스로 알았다는 응답이 58%로 가장 많고, 설교준비를 하다가 또 다른 사람의 설교나 강의를 통해서 알게 됐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습니다. 이병선 박사 / 백석대 실천신학 하나님께 드리는 거룩한 헌신인 헌금. 본래 목적을 알고 드릴 수 있도록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 앵커) 올바른 신앙생활을 위해 헌금에 대한 정확한 인식 확립이 시급해 보입니다. 취재 기자와 함께 성경적으로 올바른 헌금 생활에 대해 자세히 짚어 보겠습니다. 정희진 기자, 신학적으로 헌금은 어떤 의미인가요? 기자) 네, 신학적으로 봤을 때 헌금은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응답의 행위입니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베푸신 은혜와 사랑에 대해 우리의 전 삶을 드리겠다는 헌신과 감사, 순종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김상구 교수 / 백석대학교 앵커) 올바른 헌금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아야 할 목회자들이 헌금에 대해 체계적으로 배울 기회가 부족하다니 안타깝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목회자 양성 기관인 신학대학원에서 헌금 신학을 전문적으로 가르치고 있는 과정은 거의 없습니다. 유일하게 예장통합 소속의 영남신학대 신학대학원이 '교회와 재정' 과목을 개설해 놓은 실정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목회 실습 과목이나 교회 행정학 과목에서 부분적으로 교회재정에 대해 다루고 있을 뿐입니다. 앵커) 그렇군요. 성경적인 헌금관이 약한 목회자들의 경우 성도들에게 헌금에 대해 제대로 가르치기도 쉽지 않을 것 같은데요. 기자) 그렇습니다. 실제로 목회자 10명 중 6명이 헌금설교를 목회계획에 포함시키지 않으며, 10명 중 1명은 헌금설교를 전혀 하지 않을 정도로 헌금 설교를 피하고 있습니다. 목회자들은 물질에 초연하다는 인식을 주기 위해 또 성도들이 헌금 설교를 부담스러워 한다는 이유로 헌금 설교를 기피하는데요. 헌금에 대해 제대로 가르치지 못할 경우 헌금을 많이 하면 더 큰 축복을 받는다거나 하나님께서 헌금한 것의 삼십배 육십배 백배로 갚아주실 것이라는 등 잘못된 헌금관을 갖게 할 수 있습니다. 김상구 교수 / 백석대학교 앵커) 신학적으로 올바르고 건강한 헌금생활을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기자) 먼저 신학교에서부터 성서적인 기초교육이 이뤄져야 하며 기존의 목회자들에 대해서는 교단 차원에서 재교육이 필요해 보입니다. 또 기회가 있을 때마다 헌금과 관련된 말씀을 설교 중에 매끄럽게 가르치고, 연말에 설교계획을 수립할 때 헌금설교도 포함시키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또 교회 재정을 투명하게 운영하고 공개하면 목회자는 물질에 연연한다는 억울한 오해를 피할 수 있고, 성도들은 헌금에 대한 건강한 동기가 유발돼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그렇군요. 헌금의 성경적 의미와 올바른 헌금생활을 위한 방법들을 알아봤습니다. 정 기자, 수고했습니다. |
|||||
이전
|
2011-08-11 |
||||
다음
|
201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