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
- 하나님 나라 확장과 선한 일을 세상에 알리는 청지기
뉴스THE보기 – 인도 코린신학교 수레쉬 프라부 목사
New Hot |
|||||
---|---|---|---|---|---|
기자명
|
|||||
기사입력
|
2018-05-29 |
조회
|
3129 |
||
<인구 13억의 땅, 인도 복음화를 위해> 앵커) 인구 13억의 땅, 인도에는 카스트 제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가장 높은 크샤트리아부터 천민계급인 수드라까지, 태어날 때부터 부모의 신분에 따라 자신의 신분이 정해지는 제도인데요. 천민 출신의 한 현지인이 신학공부를 하고 인도 신학교의 학장이 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앵커) 오늘 뉴스더보기 시간에는 인도 코린 신학교의 학장인 수레쉬 프라부 목사님과 함께 인도 현지 기독교 복음화 현황, 그리고 수레쉬 목사님의 한국 유학생활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목사님 어서 오십시오. 앵커 1) 먼저 목사님께서 한국에 어떻게 오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한국을 오시게 된 과정과, 또 한국에 오신 이유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Q1) 한국 방문의 이유와 과정 A) 한국인 선교사와의 만남, 신학공부 계기 A) 인도 코린신학교에서 신학 후 유학 결정 A) 지난 2007년 신학 위해 한국 방문 앵커 2) 생방송 뉴스에 출연하실 만큼 한국어 실력이 대단하신데요. 이렇게 해외에서 공부하는 일이 매우 어려웠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목사님께서 한국에서 신학 학위를 받기까지 쉽지 않았을 텐데요. Q2) 한국에서의 신학 과정, 어려운 점 A) 교단 총회와 선교사 도움으로 한국에 정착해 A) 혜림교회 통해 거주와 학비 걱정 덜어낼 수 있어 앵커 3)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인도는 인국 13억의 대국입니다. 현재 인도 내 기독교의 복음화 현황도 궁금한데요. 설명 부탁드립니다. Q3) 인도 기독교 현황에 대해 A) 힌두교 국가 인도, 대부분 힌두교도로 자라나 A) 기독교, 인도 내 종교 중 3순위에 포함돼 앵커 4) 인도 현지에서 사역하고 있는 선교사들이 지속적으로 추방을 당하고 있습니다. 선교사뿐 아니라 현지 크리스천들을 향한 억압도 지속되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선교사들의 추방이 인도 기독교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나요? Q4) 선교사들 추방, 기독교에 미치는 영향 A) 선교사들 추방, 인도 현지 교회에 우려 안겨줘 A) 더욱 많은 현지 사역자 필요성 절실히 느껴 앵커 5) 목사님께서 인도에 있는 코린신학교의 학장이 되셨습니다. 인도의 카스트 제도를 극복하고, 박사학위를 취득해 신학교의 학장이 되셨는데요. 현재 목사님의 소감이 어떠신가요? Q5) 코린신학교 학장 취임 소감 A) 첫 현지인 학장인 만큼 부담감도 매우 커 A) 카스트 제도 벗어난 학장 취임, 감사함 느껴 앵커 6) 신학교 학장이 되면서 많은 일들을 감당해야 하실 텐데요. 현재 인도 내 신학생들이 어떻게 양육 받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또 신학교 학생들을 주님의 일꾼으로 자라나도록 하기 위한 목사님의 계획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Q6) 인도 신학생 양육 위한 계획은? A) 한국 여선교사처럼 학생 발굴에 힘써 A) 카스트 제도 극복하고 신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앵커 7) 인도 현지 신학교들이 더욱 부흥하면서 많은 이들이 사역자로 발굴됐으면 하는 소망이 있으실 텐데요. 현지 신학교들의 성장을 위해 한국교회가 어떤 부분을 협력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나요? Q7) 인도 신학교 성장 위한 한국교회 협력 방안 A) 더욱 많은 신학생 지원 위해 도움 필요해 A) 현지인들 신학적 자립 위한 전문인 필요 앵커 8) 수레쉬 목사님 개인의 향후 비전과 계획도 궁금합니다. 목사님의 꿈, 비전, 계획 등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Q8) 수레쉬 목사 향후 비전과 계획 A) 인도 현지인들에게 복음 전하는 것 A) 인도 다음세대 위한 사역도 현재 계획 중 앵커 9) 마지막으로 목사님께서 한국교회와 성도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혹은 요청하고 싶은 기도제목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Q9) 한국교회와 성도들에게 A) 마무리 앵커) 오늘 뉴스더보기 시간에는 인도 코린 신학교의 학장인 수레쉬 프라부 목사님과 함께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목사님 오늘 귀한 말씀 감사합니다. |
|||||
이전
|
2018-05-30 |
||||
다음
|
2018-05-28 |